Back to Search Start Over

Reappearance and Distribution Tendency of Finless Porpoises Neophocaena asiaeorientalis after their Mass Mortality in the Saemangeum Dyke

Authors :
Seung Yong Lee
Kyum Joon Park
Du Hae An
Hyun Woo Kim
Doo Nam Kim
Yong-Rock An
Yeong Hye Kim
Sourc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7:978-982
Publication Year :
2014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2014.

Abstract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쇠돌고래과(Family Phocoenidae)에 속하는 소형 돌고래로 다른 돌고래류와 달리 등지느러미가 없고 둥근 머리를 가지고 있다(Jefferson et al., 2008). 분포지역은 페르시아와 일본까지 아시아에만 분포하며 최근 연구를 통해, 중국 중남부를 기준으로 아시아 서부 지역 상괭이와 동부 지역 상괭이가 종 수준으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 졌다(Wang et al., 2008). 상괭이는 멸종위기동식물 국제거래 에 관한 협약(CITES)의 부속서 1에 등재되어 상업적인 거래가 금지된 보호 종이다(CITES, 2014). Park et al. (2007)은 한반 도 서해 연안에 약 36,000마리의 상괭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 로 추정하여 서해 연안이 상괭이의 최대서식지임이 밝혀졌다. 새만금 방조제는 이 서해안에 건설된 세계 최장 방조제(33.9 km)로 전라북도 군산에서 신시도를 거쳐 부안을 연결하였으며 두 개의 하천에 유입되는 담수를 배출하고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두 개의 갑문을 가지고 있다. 새만금 방조제는2006년에 최종 물막이 공사가 끝났다. 물막이 공사가 끝나고 4년이 지난 2011년 2월, 새만금 방조제 호 안에서 대량 폐사한 상괭이가 발 견되면서 새만금 방조제 호 안에 상괭이가 서식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Hankookilbo, 2011). Park et al. (2012)은 이상 저온으로 새만금호의 수면이 얼어서 호 안의 상괭이 249 새만금호의 상괭이 대량 폐사 후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 재출현과 분포 경향 박겸준*·이승용·안용락·김현우·안두해·김두남·김영혜

Details

ISSN :
03748111
Volume :
47
Database :
OpenAIRE
Journa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Accession number :
edsair.doi...........bf17f22ca532a190fcb5f690666b1a81
Full Text :
https://doi.org/10.5657/kfas.2014.0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