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Search Start Over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uthors :
Seo Kyoung Park
Han Gil Choi
Ki Wan Nam
Ji Chul Oh
Sourc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6:878-885
Publication Year :
2013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2013.

Abstract

해양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의 중요한 구성원의 하나인 해조 류는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의 산란장과 섭이장 그리고 포식 자에 대한 은신처뿐만 아니라, 부착 동·식물에게는 착생기질로 이용되므로 해양생물의 종다양성과 생산성을 증대에 일조한다 (Lindstrom, 2009). 온대해역의 해조류 군집구조는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수온, 염분 및 광주기 등 무생물적 환경요인(Lobban and Harrison, 1997)과 경쟁과 섭식압 등의 생물학적요인, 그리 고 인간의 직·간접적 활동(부영양화, 퇴적물의 증가 등)에 따라 변화한다(Tribollet and Vroom, 2007). 특히, 인간활동에 기인 한 환경오염이나 부영양화가 발생한 해역에서는 해조류의 종 다양성이 낮고 단순화된 군집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 어 해조상과 군집구조로 생태계의 환경변화를 예측 혹은 진단 할 수 있어 생물학적 지시자(biological indicator)로 사용된다 (Diez et al., 1999; Wells et al., 2007). 우리나라 전라남도 연안은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다양한 크 기의 많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류, 수온, 수심 과 탁도의 변화가 매우 심한 해황적 특성을 보인다(Kang, 1966; Choi, 1992). 전라남도 해역에서 해조류 연구의 시초는 정약전 이 1814년에 집필한 자산어보에서 흑산도에 35종이 출현한 것 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이며, 해조학자인 Kang (1966)은 한국 산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를 구분하면서 대흑산도와 소흑산도에 서 89종이 생육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후 Lee et al. (1986a) 은 대흑산도와 소흑산도를 포함한 6개 섬의 하계 조사에서 129 종을 기재하였고 Kang (1966)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이곳 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총 160종으로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홍 도와 흑산도가 포함된 행정구역인 신안군의 우이도의 계절별

Details

ISSN :
03748111
Volume :
46
Database :
OpenAIRE
Journa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Accession number :
edsair.doi...........6150dc06b08a1a1cdfb7a2127e0ce85b
Full Text :
https://doi.org/10.5657/kfas.2013.0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