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Search Start Over

Two Daughters of Megalia : Identity Differentiation in Response to the Anonymity Level in Online Community

Authors :
Jeong-han Kang
Jun-mo Song
Source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52:161-206
Publication Year :
2018
Publisher :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18.

Abstract

전투적 여성주의를 표방한 온라인 커뮤니티 메갈리아의 정체성에 대해 온라인 여성주의에서부터 혐오사이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익명상황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정체성의 분화에 주목하여 상이한 해석이 도출된 원인을 탐색한다. 글쓴이 ID 공개 여부로 구분되는 익명성 수준(완전익명, 부분익명)에 따라 게시물에 나타난 담론 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 내부갈등의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기 위해 2015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메갈리아의 생애에 걸친 전체게시물 162,893건을 분석하였다. 자연어처리 기법(토픽모델링, Word2Vec)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체 게시물에서 성차별과 연관있는 주제의 비중이 높았으며, 내부 갈등과 연관된 주제의 비중은 크지 않았다. 한편 완전익명 게시물에서는 메갈리아 방언을 이용한 분노 표출 토픽들이 배타적인 선호를 보였으며, 부분익명 게시물에서는 성차별 반대 캠페인 관련 토픽들이 배타적 선호를 보였다. 이러한 담론의 분화는 게시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완전익명 게시글에 주목하느냐, 혹은 주요 글쓴이에 주목하며 부분익명 게시글의 흐름을 파악하느냐에 따라 메갈리아의 정체성을 전혀 다르게 파악하게 한다. 더불어 익명성 수준에 상관없이 공유되는 주제 내에서도 정체성간 사용하는 단어가 배타적으로 나뉘거나 공유단어의 활용맥락이 달라지는 방식으로 갈등이 발전한다. 두 가지 방식이 모두 관찰된 성소수자 논쟁의 경우 구성원의 대거 이탈과 커뮤니티의 쇠락을 야기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자들이 익명성 수준과 같은 구조적 여건에 반응하여 정체성을 형성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커뮤니티의 생애과정 전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분석틀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Details

ISSN :
12250120
Volume :
52
Database :
OpenAIRE
Journal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ccession number :
edsair.doi...........1d2618b0937f504008fefb56f26b2acc
Full Text :
https://doi.org/10.21562/kjs.2018.11.52.4.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