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Search
Start Over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for Consumer Trust-Anxiety-Competency by Source of Information - Focused on Chemical Household Products
- Source :
-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13:141-158
- Publication Year :
- 2017
- Publisher :
-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2017.
-
Abstract
- 2013년 7월 9일 이후 생활화학가정용품 8개 품목이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지정⋅ 관리되고 있으나, 이외 품목들은 관리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별도의 안전 확인 절차나 사용 상 주의사항 표시 없이 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화학가정용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제 공원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불안이 소비자 스스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역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원별 생활화학가정용품의 위험전 달에 대한 소비자신뢰를 살펴본 결과, 전문가집단은 평균 3.20, 인터넷카페⋅블로그는 평균 3.12, 신문⋅방송(언론)은 평균 2.92, 정부기관은 평균 2.8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제공원별 구분된 네 가지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에 대한 경로계수와 선행변수가 후행변수에 갖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면 신문⋅방송(언론)에 대한 소비자신뢰-불안-역량 모델에서만 유일하게 소비자불안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문⋅방송(언론)에 대한 소비자신뢰를 높여 소비자불안을 낮추고 소비자태도 및 소비자기능을 강화할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etails
- ISSN :
- 24661201 and 24661198
- Volume :
- 13
- Database :
- OpenAIRE
- Journal :
-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Accession number :
- edsair.doi...........0336cf53271cbed3bc4595edb6f3a69e
- Full Text :
-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3.141